함께사는세상 방문 후기 (자연과 함께하는 힐링 공간) 방문일자 : 2025.4.16(수) ♤♤♤ 초막골 생태공원 이야기 ♤♤♤ 도시화가 가속되며 훼손된 생태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조성되어 2016년 7월 개장 했답니다. 수리산 무성봉의 물이 산본천,안양천, 한강으로 흐르는 물길의 시작이자 맑은공기가 도시로 통하는 바람길이며 수리산... 2025-04-22 09:16:00
부산광역시 대표 블로그 부산 물길 역사의 발자취 찾아서」 아홉 번째 코스로 "삼각주가 만든 공간, 서낙동강의 역사와 문화를 돌아보다"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 🚩 9 코스 대저수문 ▶ 대저수리조합 터 ▶ 양덕운 가옥 ▶ 낙동강칠백리 식당 ▶ 신평마을 비행기 격납고 ▶ 죽도왜성 ▶ 녹산수문 김상휴·홍재철 영세불망비 명지염전 터 ▶ 낙동강... 2025-05-09 16:20:00
가을하늘네 뜨락 조선후기까지 이 지역의 군사 및 행정중심지 기능을 수행했다. 당진에서 일어난 천주교 박해 현장 중 하나였으며, 당진 의병이 일본군 수비대 및 관군과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. 치성과 옹성을 더한 전체 둘레는 약 1.5km, 순천의 낙안읍성과 비슷한 규모이다. 성벽은 자연석을 잘 다듬어 쌓았는데, 외부는 석축이고 내부... 2025-03-04 04:18:54
무새잔등 1기 수리공사 6) 동궁과 월지(17:55~19:00) 7) 월정교(19:15~20:00) 8) 첨성대(20:10~20:15) 9) 신라대종(20:30) 10) 황리단길 야경(20:35~19:50)-반듯이(저녁, 20:54~21:34) 11) 숙소(GG호텔) 2. 2일차(04/08) 1) 경북천년숲정원(07:30~09:10) 2) 포석정(09:20~10:00) 3) 선덕여왕릉-사천왕사지(10:20~10:50)-산해(점심... 2025-04-13 14:28:17
인생2막 붕붕여행부부 조선 후기 문인 황현이 이곳에서 바라본 아름다운 경관을 시로 읊었다고 합니다. (내용출처 : 진안군청 문화유산 안내판) 건물 뒷쪽 내부 안쪽 샘물흔적 쌍계석문 고산지대 안쪽 넓은 땅, 평지리 맑고 잔잔한 섬진강의 물길은, 조용히, 계서리와 평지리를 나누며 강정리로 흘러 갑니다. 섬진강의 물길은 마령면의 넓은... 2025-05-02 11:59:00
쪙이의 블로그 월영교, 물길공원, 도산서원 등에는 산불의 흔적이 전~~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지금부터가 여행 적기라는 사실 - 😊 ! 이번 여행은 감성 한옥 안동 숙소로...있어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힐링했어요. 💙 자세한 산온리트릿 1박 후기 시작할게요 ! 산온 : 리트릿 체크인 15시 / 체크아웃 11시 / 온수 추가 5만원... 2025-04-21 13:00:00
☁️세란뷰티•패션☁️ 분은 물길을 되게 잘 잡아서 잘 끌어주고, 어떤 분은 물이 좋은데도 불편했던 경험이 있었어요. 그럼 내가 면허 자격증을 따서 내가 운전해보면 어떨까? 싶어서...된 케이스예요. ▼아래 링크는▼ 일주일만에 필기 합격하게 된 후기와 꿀팁이 담겨있으니 꼭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려요! 서울 조종면허시험 1급 필기... 2025-05-12 11:55:00
의성별 숲 공원을 청소하고 있었습니다. 영모전 영모전은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조선 제6대 임금인 단종(재위 1452∼1455)의 영정(초상화)을 모신 곳입니다. 단종이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유배되어 사약을 받고 죽자 모두가 애도하며, 정성 어린 마음으로 중종 12년(1517)에 사당을 짓고 항상 단종이 있는 것... 2024-12-28 17:31:20
러블리하루 지금 바로 후기 시작할게요! 📍위치 - 경북 안동시 법흥동 7-9 🅿️주차 -탑 근처에 주차 가능해요. 💰입장료 - 무료 개방 🏘근처 관광지 - 월영교, 낙강 물길 공원, 임청각 국보 법흥사지 칠층전탑 낙동강이 흐르는 길에서 만난 안동 명소! 법흥사지 칠층전탑은 흙으로 만든 벽돌로 쌓아 올린 7층 전탑으로 국보 제16호... 2025-05-07 11:24:00
고독한 소피스트 조선 후기 예학의 확신과 관련이 깊다. 김만기는 숙종의 장인이 되어 광성부원군(光城府院君)에 봉해졌으며, 총응사와 훈련대장을 맡으면서 병권을 장악했다. 김만기 일가 묘역은 네 군데로 구분되는데, 상단에 김만기 부부가 안치되어 있다. 중단 동쪽에 김만기의 아들 김진구(金旗龜, 1651~1704)의 묘, 중단 서쪽에... 2025-02-22 13:23:00